본문 바로가기
기타

IEC 61850 Sampled Value 기술이란?

by leo21c 2025. 10. 30.

IEC 61850 Sampled Values (SV) 기술은 디지털 변전소의 핵심 요소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이더넷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 기술을 활용한 제품과 기대 효과, 그리고 데이터 분석 기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IEC 61850 SV 기능 활용 제품 및 사용 분야

현재 IEC 61850 SV 기능을 활용한 제품들은 주로 디지털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의 프로세스 버스(Process Bus) 환경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 주요 제품:
    • Merging Unit (MU): 변류기(CT)나 전압 변성기(VT)에서 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IEC 61850-9-2 표준에 따라 디지털 SV 메시지로 변환하여 이더넷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장치입니다. 지멘스(Siemens)와 같은 여러 주요 제조업체에서 공급하고 있습니다.
    • 보호 계전기 (Protection Relays): 이더넷 네트워크로부터 SV 메시지를 수신하여 전력 계통의 보호 및 제어 로직을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Siemens의 SIPROTEC 5 시리즈는 SV를 직접 처리할 수 있습니다.
    • 디지털 고장 기록 장치 (Digital Fault Recorders, DFR): 기존의 아날로그 입력 대신 SV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여 고장 분석 및 전력 품질 모니터링을 수행합니다.
    • 스마트 변전소 제어 및 보호 장치: ABB의 SSC600과 같은 중앙 집중식 장치는 여러 IED의 기능을 통합하고 프로세스 버스를 통해 SV 데이터를 수신하여 변전소 전체를 보호하고 제어합니다.
  • 주요 사용 분야:
    • 변전소 자동화: 변전소 내의 기기 간 통신을 디지털화하여 시스템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입니다.
    • 보호 및 제어 시스템: 실시간으로 디지털화된 전압, 전류 값을 기반으로 빠르고 정확한 보호 동작을 수행합니다.
    • 전력 품질 모니터링: 고해상도의 샘플링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압 새그(Sag), 스웰(Swell), 고조파 등 다양한 전력 품질 문제를 정밀하게 분석합니다.

2. IED에 SV 기능 적용 시 기대 효과

전력기기(IED)에 IEC 61850 SV 기능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상당한 이점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배선 비용 및 복잡성 감소: 전통적인 구리선 케이블 대신 광섬유 이더넷 케이블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수많은 아날로그 배선이 사라져 설계, 설치, 시운전 및 유지보수 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됩니다.
  • 안전성 향상: 위험한 고전압, 대전류가 제어반으로 직접 들어오지 않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이 크게 향상됩니다. 또한, 광케이블을 사용하므로 전기적 노이즈(EMI)의 영향을 받지 않아 신호의 정확성이 높아집니다.
  • 설치 공간 감소: 아날로그 입력 카드와 배선을 위한 공간이 필요 없어지므로 IED와 제어반의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공간이 제한적인 기존 변전소의 설비를 교체할 때 큰 장점이 됩니다.
  • 유연성 및 확장성 증대: 시스템 구성 변경 시 물리적인 배선을 다시 할 필요 없이 소프트웨어 설정 변경만으로 데이터 흐름을 바꿀 수 있습니다. 새로운 IED를 추가하거나 기능을 확장하기가 매우 용이해집니다.
  • 데이터 활용도 향상: 하나의 Merging Unit에서 생성된 SV 데이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IED(보호, 감시, 제어, 분석 장치 등)에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3. SV 데이터 분석 기능 개발 시 필요 기능 리스트

IEC 61850 Sampled Value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능을 개발한다면, 다음과 같은 기능들이 필수적으로 요구될 것입니다.

기능 카테고리 세부 기능 리스트 설명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시각화 - SV 패킷 수신 및 디코딩 - 실시간 파형 모니터링 (전압, 전류) - 벡터 다이어그램(Phasor Diagram) 표시 네트워크로부터 SV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파형과 위상 관계를 직관적으로 볼 수 있게 합니다.
전력 품질 분석 - 고조파(Harmonics) 분석 (THD, 개별 차수 분석) - 전압 변동(Flicker, Sag, Swell, Interruption) 감지 - 주파수 변동 분석 고속으로 샘플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전력 품질 지표를 정밀하게 계산하고 분석합니다.
계통 안정도 분석 - 동기위상(Synchrophasor) 측정 및 분석 - 위상각 차이(Phase Angle Difference) 모니터링 - 저주파 동요(Low-Frequency Oscillation) 검출 GPS 등과 연동하여 시간 동기화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광역 전력 시스템의 안정도를 평가합니다.
고장 분석 및 이벤트 기록 - 고장 발생 시점의 파형 데이터 저장 (Triggering 기능) - 고장 위치 추정(Fault Location) 알고리즘 - 이벤트 순서 기록(Sequence of Events, SOE) 과전류, 저전압 등 특정 조건이 만족될 때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기록하여 고장 원인을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데이터 관리 및 보고 - COMTRADE 형식 등 표준 파일 형식으로 데이터 내보내기 - 장기간 데이터 저장 및 통계 분석 - 사용자 정의 보고서 생성 기능 분석 결과를 표준화된 형식으로 저장하고, 장기적인 추이 분석 및 보고서 작성을 지원합니다.
시스템 설정 및 진단 - 네트워크 구성 및 SV 스트림 설정 - 데이터 품질 진단 (누락 패킷, 타임스탬프 오류 등) - 통신 상태 모니터링 분석 시스템 자체의 설정과 SV 데이터의 무결성을 진단하고 관리하는 기능입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전력 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문제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이 비디오는 IEC 61850의 기본 개념 중 하나인 Sampled Values에 대해 설명하며, 디지털 변전소에서의 역할과 구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IEC 61850 심층 분석: 샘플링된 값

 


1. IEC 61850 SV 활용 제품 및 사용 분야

현재 다수의 제품이 있으며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 주요 제품: 머징 유닛 (Merging Unit, MU)
    • IEC 61850 SV 기능을 구현하는 가장 대표적인 장치입니다.
    • 변전소 현장(Primary)의 **CT(변류기) 및 VT(전압 변압기)**로부터 아날로그 전압/전류 신호를 받아, 이를 디지털 데이터(SV)로 변환하여 이더넷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 최근에는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는 MU 외에도, NCIT(Non-Conventional Instrument Transformer)라 불리는 광학식 CT/VT와 직접 연결되어 디지털 신호를 받는 MU도 사용됩니다.
  • 주요 사용 분야: 디지털 변전소 (Digital Substation)의 '프로세스 버스 (Process Bus)'
    • **프로세스 버스(Process Bus)**는 변전소의 1차측 설비(CT/VT, 차단기 등)와 2차측 설비(보호/제어 IED) 간의 통신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IEC 61850-9-2(SV) 표준을 기반으로 합니다.
    • 기존 변전소에서는 CT/VT에서 계측된 아날로그 신호를 두꺼운 구리 케이블로 제어실의 보호반(IED)까지 직접 연결했습니다.
    • 디지털 변전소에서는 현장에 Merging Unit을 설치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SV로 변환하고, 이를 **광케이블(이더넷)**을 통해 여러 보호 IED(보호 계전기 등)에 전송합니다.
    • 즉, SV는 '디지털 변전소의 아날로그 신호 전송'을 담당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2. IEC 61850 SV 적용 시 기대 효과

IED(지능형 전력기기, 예: 보호 계전기)가 SV를 직접 수신하여 처리할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경제성 (비용 절감)
    • 구리 케이블 대체: 가장 큰 효과입니다. CT/VT에서 제어실까지 수백 미터에 달하는 값비싸고 무거운 구리 케이블 대신, 저렴하고 가벼운 광케이블을 사용하게 됩니다.
    • 설치 및 시공 비용 감소: 케이블 포설, 트렌치 공사 등에 드는 막대한 토목/건축 비용과 인건비가 획기적으로 줄어듭니다.
  • 안전성 향상
    • 전기적 위험 제거: 제어실 보호반 패널 뒷면에 더 이상 CT 2차측의 고전류 또는 VT의 고전압 회로가 존재하지 않게 됩니다. 이는 유지보수 작업자의 감전 및 안전사고 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합니다.
    • CT 개방 위험 해소: 기존 CT 회로의 유지보수 시 발생할 수 있는 'CT 2차측 개방'으로 인한 설비 소손 및 안전사고 위험이 사라집니다.
  • 유연성 및 확장성 증대
    • 데이터 공유 용이: 하나의 MU가 생성한 SV 데이터(예: A상 전류)를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수의 IED (주보호, 후비보호, 미터링 장치 등)가 동시에 구독(Subscribe)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설계 변경 용이: 기존에는 계전기 추가 시 CT 회로부터 다시 연결해야 했지만, SV 환경에서는 네트워크에 IED를 추가하고 SV 스트림을 구독하도록 설정만 변경하면 됩니다.
  • 신뢰성 및 정확도 향상
    • 노이즈 저항성: 아날로그 신호는 장거리 전송 시 노이즈나 신호 왜곡에 취약하지만, 디지털 광통신(SV)은 이러한 외부 간섭에 매우 강합니다.
    • 정밀 시각 동기: PTP(IEEE 1588)와 같은 정밀 시각 동기 기술을 사용하여 변전소 내 모든 IED가 마이크로초(µs) 단위로 동일한 시간에 샘플링된 데이터를 사용하므로,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도가 높아집니다.

3. IEC 61850 SV 데이터 분석 기능 리스트

만약 SV 데이터를 분석하는 소프트웨어나 장치를 개발한다면, 다음과 같은 기능들이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 1. SV 스트림 수신 및 디코딩 (기본 기능)
    • 실시간 패킷 캡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IC)를 통해 SV (IEC 61850-9-2LE) 및 관련 프로토콜(GOOSE, PTP) 패킷을 실시간으로 캡처해야 합니다.
    • 프로토콜 디코딩: 캡처된 이더넷 프레임을 파싱(Parsing)하여 SV 페이로드(Payload)에 담긴 전압, 전류 샘플 값(정수형)과 품질(Quality) 플래그, 샘플 카운트(smpCnt) 등을 해석해야 합니다.
    • SCL(SCD) 파일 연동: 변전소 구성 파일(.SCD)을 임포트하여, 특정 SV 스트림(AppID, MAC 주소 기준)이 어떤 CT/VT에서 온 데이터인지 식별하고 공학 단위(A, V)로 변환하는 기능이 필요합니다.
  • 2. SV 스트림 상태 및 건전성 분석 (진단 기능)
    • 샘플 카운트(smpCnt) 모니터링: smpCnt 값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는지 감시하여 패킷 손실(Packet Loss) 여부를 실시간으로 탐지해야 합니다.
    • 데이터 품질(Quality) 플래그 감시: SV 데이터에 포함된 품질 비트를 분석하여, MU나 CT/VT 자체의 이상 상태(예: Test 모드, 유효하지 않은 값)를 탐지해야 합니다.
    • 타임스탬프 및 동기화 분석: PTP(IEEE 1588) 동기화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SV 패킷의 타임스탬프를 분석하여 **데이터 지연(Latency)이나 지터(Jitter)**가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스트림 유효성 검사: 구성(SCL) 파일에 정의된 대로 SV 스트림이 정확한 주기(예: 4kHz)와 사양으로 전송되고 있는지 검증해야 합니다.
  • 3. 전력 계측 및 분석 (분석 기능)
    • 실시간 파형(Waveform) 표시: 수신된 샘플 값(V, I)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전압/전류 파형을 오실로스코프처럼 시각화합니다.
    • 페이저(Phasor) 연산 및 표시: 파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압/전류의 크기(Magnitude)와 위상(Angle)을 계산하고, 이를 페이저 다이어그램으로 시각화합니다.
    • 주파수 및 전력(P, Q, S) 계산: 실시간 주파수, 유효 전력(P), 무효 전력(Q), 피상 전력(S)을 연산하여 표시합니다.
    • 전력 품질(Power Quality) 분석: 고조파(Harmonics, THD), 플리커(Flicker), 전압 변동(Sag/Swell) 등 전력 품질 지표를 분석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4. 이벤트 기록 및 저장 (기록 기능)
    • 트리거(Trigger) 기능: 특정 조건(예: 과전류, 저전압, 패킷 손실)이 발생했을 때를 '이벤트'로 정의하고, 이벤트 발생 전후의 SV 데이터를 자동으로 저장해야 합니다 (디지털 고장 기록(DFR) 기능과 유사).
    • 데이터 로깅 및 재생: 수신된 SV 데이터를 PCAP 또는 COMTRADE와 같은 표준 형식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파일을 다시 불러와 재생(Playback) 및 분석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디지털 변전소의 시운전, 유지보수, 고장 분석 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됩니다.

LIST